척추동맥의 분지와 뇌, 간, 제대혈관


입력시간 : 2015. 08.25. 00:00


척추동맥은 빗장밑동맥에서 분비되고 위로 상행하여 뇌와 목 뒤로 올라가며 척추동맥은 뇌바닥동맥(기저동맥)을 형성하며 뇌바닥동맥으로부터의 많은 분비들은 뇌간과 소뇌 주위에 혈액을 공급한다.

속목동맥과 뇌바닥동맥의 분지들은 뇌의 기저 부분에서 동맥환을 형성하는데 이 동맥들이 문합되거나 연결된 둥근 배열을 윌리스 환이라고 하며 많은 동맥이 형성되고 뇌를 통과하여 충분한 혈액의 공급을 유지한다.

뇌에 공급되는 대부분의 혈액은 속목동맥을 통하여 흐르고 목동맥이 막히면 척추동맥이 뇌로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으며 뇌기능 불구는 인지(사고)불능이나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난다. 바깥, 속목정맥(내, 외경정맥)은 머리와 목으로부터 흐르는 2개의 주된 정맥으로 바깥목정맥은 좀 더 표재성이며 머리와 목의 뒷부분에서 혈액이 유입되며 빗장밑정맥으로 투입되며 속목정맥은 머리 앞쪽, 얼굴, 목으로 흐른다.

간 순환에 연관된 3개의 혈관은 간문맥, 간동맥, 간정맥이다. 간문맥은 소화기관으로부터 혈액을 간으로 운반하며 2개의 큰 정맥인 위창자간막정맥과 지라정맥(비장정맥)이 합쳐져서 형성되며 위창자간막정맥은 대부분의 소화작용과 흡수가 일어나는 소장과 대장의 첫 부분에서 혈액을 받으며 지라(비장)정맥은 위, 비장, 췌장으로부터 혈액을 받는다. 비장정맥은 아래창자간막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으며 간문맥의 주요기능은 소화기관으로부터 소화된 최종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혈액을 간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간은 질소가 암모니아 형태로 일반 순환에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며 간은 질소를 요소의 형태로 혈액에서 배설시킨다. 간경화의 경우 혈액이 간을 우회하여 암모니아가 일반 순환에 침투하게 되며 이는 뇌활동을 심각하게 저해하여 혼돈과 뇌병변을 초래한다.

간동맥은 큰 동맥이며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간으로 운반해주며 간정맥은 간에서 혈액을 아래대정맥으로 운반한다. 간동맥과 문맥은 모두 간으로 혈액을 운반하며 간동맥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고 문맥은 산소농도는 낮으나 소화된 최종물질이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며 간동맥은 간 혈액의 1/3을, 간문맥은 2/3를 운반한다.

위, 비장, 췌장, 장, 간으로 흐르는 혈액을 내부장기순환이라고 하며 이는 매우 잘 조정되며 식후에는 혈액의 흐름이 8배로 증가될 수 있으며 소화가 끝나면 혈액은 뼈대근육과 같은 다른 기관으로 보내진다. 내부장기순환은 심한 출혈에 강력하게 반응하며 혈관은 강하게 수축하여 국소빈혈 혹은 혈액이 없는 내장이 되기도 한다.

한때 여러분은 긴 탯줄(제대)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어머니의 자궁벽에 잡리잡은 태반이라는 구조와 연결된 생명선이었다. 태아의 모든 영양분, 가스, 노폐물의 교환이 태반에서 일어났다. 탯줄에는 3개의 혈관이 있으며 1개의 큰 배꼽정맥(제대정맥)과 2개의 좀 더 작은 배꼽동맥(제대동맥)이 있으며 배꼽정맥은 산소와 영양이 풍부한 혈액을 태반에서 태아에게 운반하며 2개의 배꼽동맥은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태아로부터 태반으로 운반한다.

류재문 프로필: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중국해부연수팀장 연구실:061-360-5193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