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와 근육의 종류


입력시간 : 2015. 10.02. 00:00


신경조직은 뇌, 척수, 뉴런을 구성하고 있고 2가지 유형의 세포인 뉴런과 신경아교로 되어 있다. 뉴런은 신경계의 기본단위가 되며 신경세포, 뇌와 척수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여러모양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

뉴신경계의 기본단위인 신경원인 뉴런은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상돌기, 세포체, 축삭이 그것이다. 수상돌기는 다른 여러 뉴런에서 많은 정보를 받아 세포체로 정보를 전달하며 핵을 보유한 세포체는 세포생명에 필수적이며 수상돌기로부터 받은 많은 다양한 정보를 축삭에게 전달하며 단일축삭은 세포체로부터 멀리 정보를 다른 뉴런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아교는 쉽게 말하면 뉴런을 지지하고 보살피는 세포이다. 신경아교의 아교란 접착제 같은 의미로 이러한 세포들이 서로 지지하고 붙어있도록 하여 거대한 뉴런망을 형성하는 능력을 말한다. 뉴런과 달리 아교세포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는 않는다.

근육조직은 짧아지거나 수축하는 세포로 구성되며 3가지 유형으로 뼈대근육, 민무늬근육, 심장근육으로 분류할수 있다. 일반적인 뼈대근육은 골격근이라고 하며 뼈에 붙어 있고 내맘대로 움직인다 하여 수의근이라고 하며 근육에 있는 특유의 줄무늬 때문에 가로무늬근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는 근섬유안에 있는 근육 단백의 배열 때문이다. 골격을 움직이고 자세를 유지하며 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민무늬근육은 평활근이라고도 하며 내장의 벽이나 위, 장, 방광과 같은 장기에서 볼 수 있으며 내맘대로 움직일수 없다하여 불수의근이라고 한다. 세기관지와 같은 호흡통로의 관과 혈관에서도 볼 수 있다.

심장근육은 거대한 혈관망으로 혈액을 펌프하여 내보내는 심장에서만 볼 수 있다. 역시 내맘대로 움직일수 없다고 하여 불수의근이라고 한다. 줄모양이며 심장전체에 전기적 신호를 빠르게 전도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류재문프로필:인체해부연수교육개발원장 연구실:062-236-3114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