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의 기능과 혈관의 역할 입력시간 : 2016. 07.02. 00:00
심장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혈액을 운반하며 영양분, 가스와 노폐물을 운반한다. 물질을 수송한다. 혈액은 호르몬, 면역물질, 혈전형성물질, 효소, 가스와 노폐물 같은 물질을 온몸으로 보낸다. 혈압을 조절하고 혈류를 조직으로 보낸다. 혈관은 동맥, 모세혈관과 정맥의 3종류이며 동맥은 심장에서 먼쪽으로 혈액을 운반하며 산소와 영양분이 풍부하고 동맥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탄력섬유가 많았던 동맥에서 탄력섬유보다 민무늬근육이 많은 동맥으로 점점 변한다. 동맥은 탄력동맥, 근육동맥과 세동맥으로 구별되나 모든 동맥이 연속되어 있다. 세동맥의 혈류는 모세혈관으로 이동하고 모세혈관에서 혈액과 조직사이의 물질교환이 일어난다. 모세혈관은 동맥보다 훨씬 얇은 벽구조를 가지며 모세혈관을 거치는 혈류는 매우 느리다. 모세혈관을 지난 혈류는 정맥으로 이동하고 정맥은 심장쪽으로 혈액을 운반한다. 정맥혈은 노폐물이 많고 산소가 부족하며 동맥과 비교할 때 정맥의 벽은 얇고 탄력조직이 적고 민무늬근육의 양도 적다. 정맥의 직경이 커지면서 정맥의 수는 감소하지만 벽은 두꺼워진다. 정맥은 세정맥, 소정맥, 근육형정맥, 크기가 큰 대정맥으로 구별된다. 혈관의 벽 구조는 3층의 막 구조로 구성되며 속막, 중간막, 바깥막이 그것이다. 속막은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단순편평상피, 바닥막과 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내피로 되어있다. 중간막은 혈관을 동심원 모양으로 감싸고 있는 민무늬근육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양의 탄력섬유와 아교섬유를 함유한다. 바깥막은 결합조직으로 구성되며 바깥쪽으로 가면서 점점 성긴결합조직으로 변한다. 탄력동맥은 직경이 가장 큰 동맥으로 가장 두꺼운 벽구조를 가지며 탄력동맥의 벽에는 매우 높은 비율의 탄력조직과 낮은 비율의 민무늬근육으로 구성되며 대동맥과 허파동맥이 탄력동맥이다. 심장의 심실이 혈액을 내뿜을때 늘어나며 탄력반동은 혈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예방하고 심실이 이완하는 동안 혈류를 유지시킨다. 근육동맥은 중간동맥과 작은 소동맥을 포함하며 중간동맥의 벽은 비교적 두꺼우며 두께는 대부분 민무늬근육이 차지한다. 중간동맥은 종종 분배동맥이라고 하며 혈관에 있는 민무늬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혈관수축이라고 하며 혈관은 직경이 줄어들고 혈류도 감소하며 반대로 혈관에 있는 민무늬근육이 이완하는 것을 혈관이완이라고 하며 혈관의 직경이 커지고 혈류도 증가한다. 작은 소동맥은 직경이 작고 벽도 얇으며 크기가 아주 작은 동맥의 벽에는 민무늬근육이 3~4층 정도 존재한다. 류재문프로필:중국해부연수팀장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