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생동안 무기질은 항상 재흡수되고 재형성의 반복으로 교체된다. 골의 칼슘은 유아의 경우 1년마다 100%의 비율로 교체되며 성인의 경우 18%의 비율로 교체된다. 우리몸 칼슘대사의 조절은 부갑상선 호르몬, 칼시토닌, vita D의 3종의 호르몬이 주로 관여한다. 일명 칼슘조절호르몬이라고 한다. 부수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 성장호르몬, 에스트로겐도 영향을 미친다. 우선 칼시토닌이 있다.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중 칼슘이온 농도에 의해 분비가 조절된다. 혈중 칼슘이온이 상승하게 되면 분비가 증가되고 농도가 감소하게 되면 분비가 저하된다. 골(뼈)에서 칼슘의 유리를 억제하여 혈중 칼슘이온농도를 낮춘다. 또한 뇨를 통하여 인 및 칼슘이온의 배설을 촉진한다. 다음은 부갑상선 호르몬의 역할이다. 부갑상선 주세포에서 합성, 분비된다. 호르몬 분비는 혈중 칼슘이온 농도의 피드백에 의해 이루어진다. 혈장칼슘이온 농도가 높으면 분비는 억제되고 농도가 낮으면 분비가 촉진된다. 뼈로부터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장 칼슘이온 농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인산의 재흡수를 감소시켜 혈장 인산농도를 저하시킨다. 수술시 부갑상선이 제거되면 저칼슘혈증이 유발되어 강직, 경련이 출현하고 부갑상선 종양등에 의해 호르몬 분비가 과다해지면 고칼슘혈증, 저인산혈증이 발생해 신장결석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마지막으로 vita D이다. 칼슘 및 인의 흡수를 촉진하고 또한 골의 칼슘 및 인을 일정농도로 유지시킨다. 소아에 있어 vita D의 섭취불량, 부족시, 신장기능 이상으로 vita D가 부족하면 저칼슘혈증이 유발된다. 이로인해 새롭게 생성되는 뼈의 단백질이 칼슘을 수용하지 못하게 되면 구루병이 초래되기도 한다. 류재문<송원대학 재활과 겸임교수.건강칼럼니스트> 연락처:062-236-3114 Fax:062-228-3115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