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가 길면 춤을 잘 출 수 있다. 무슨 일을 하든지 여건이 좋은 사람이 더 유리하다는 말 능력과 실력이 있는 사람이라도 유리한 조건이 곁들여지면 반드시 더욱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돈이 많으면 장사를 잘할 수 있다는 뜻인 다전선고(多錢善賈)를 덧붙여 쓰기도 한다. 전국시대 말기의 사상가인 韓非子의 《韓非子》<오두편>에는 이런 말이 적혀있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소매가 긴 옷을 입으면 춤을 잘 출 수 있고 돈이 많으면 장사하기 좋다(長袖善舞 多錢善賈)'고 했다 이것은 자산이 풍부하면 일을 하기가 쉽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정치가 잘 되어 있는 강대국은 계획을 꾸미기 쉽고 정치가 어지러운 약소국은 계획을 꾸미기가 어렵다. 진(秦)나라와 같은 부강한 나라에서 일하는 관리들은 열번이나 계획을 바꾸어도 실패하는 일이 드물다. 반대로 연(燕)나라 같은 약소국에서 일하는 관리들은 계획을 한번만 바꾸어도 성공을 거두기가 힘든다. 이런 차이가 나는 것은 진나라의 관리가 지혜가 있는 사람이어서 그런 것도 아니고 연나라의 관리가 어리석은 사람이어서 그런 것도 아니다. 결국 나라라 잘 다스려져 있느냐, 그렇지 못하냐 하는 밑바탕의 차이일뿐이다." 여기서 한비자가 주장하고 싶은 것은 어느 나라이건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재를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런 훌륭한 인재들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잘 정비되어 있는 체제와 제도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오두]란 말은 '국가를 좀먹는 <다섯 종류의 좀>이라는 뜻으로 한비자는 학자와 유세하는 선비와 협객과 상공업자와 국가의 공민으로서 의무를 버리고 권세가의 식객노릇을 하는 사람들을 들어, 이와같은 국가의 기생충은 정치의 문란에서 발생하며, 그 문란을 선동하는 존재이므로, 임금된 사람은 그들의 언론에 마음을 빼앗기거나, 그들의 행동을 용서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출전]《한비자》<오두편> ◆전거후공(前倨後恭)= 前:앞 전. 倨:오만할 거. 後:뒤 후. 恭:공손할 공 이전에는 거만하다가 나중에는 공손하다는 말로, 상대편의 입지에 따라 대하는 태도가 상반되는 것을 비유함. 춘추전국시대에 종횡가로 손꼽히는 소진이 있었다. 그는 본래 낙양 사람으로 귀곡자를 스승으로 섬겼고, 수년동안 제후들에게 유세하러 다니기도 했으나 모두 실패하여 결국 실의에 빠진 채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의 낙향에 아내와 형제들은 말할 것도 없고, 그의 형수는 노골적으로 경멸하며 비웃었다. 소진은 두문불출하고는 마침내 종횡의 이론을 생각했다. 소진은 연나라와 조나라로 가서 제, 초, 위, 한 등 6개 나라가 연합하여 막강한 진나라에 대항하자는 건의를 했다. 결국 그의 견해는 받아들여져 6국은 소진을 승상의 지위까지 맡겨 진나라를 무력하게 만들었다. 소진은 어느 날 북방에 있는 조나라로 가게 되었다. 그는 옛날 생각이 나서 고향에 잠시 들르기로 했다. 그가 집에 도착하자, 그의 형제와 아내는 감히 그를 쳐다보지도 못하고 곁눈질하며 시중을 들었다. 특히 형수의 태도는 더욱 공손하였다. 소진은 그 모습을 보고 형수에게 물었다. "옛날에는 무척 거만했는데, 지금은 이다지도 공손해지셨습니까?" "이제는 서방님의 지위가 높아 감히......" 이 말을 듣고 난 소진은 한탄하며 이렇게 되뇌었다. "나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은 소진인데, 부귀할 때는 남들이 두려워하고 빈천할 때는 멸시하니, 부와 명예가 이렇게도 대단하던가!" 우리 주변에도 소진의 형수같은 무리들이 적지 않음을 자주 보게 된다. 특히 권력을 장악하고 있을 때와 그렇지 못할 때 추종자들의 그들에 대한 상반 된 태도는 상식으로 이해되지 않는 면이 많다. 출처//http://peerhs.com.ne.kr/gosa/go1.html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