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맞아 식량이 무기화되는 냉혹한 현실과 마주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라는 변수까지 등장해 미래 식량부족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런 현실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곤충 산업이 떠오르고 있다. 전남은 미래 식량 부족 문제에 대한 답을 곤충산업에서 찾아가고 있는 가운데, 곤충 산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전남도가 펼치는 곤충 산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특히 일선 곤충 농가의 성공사례와 기업 현실을 소개해 곤충산업으로 귀농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소득 창출 기회와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식량 위기의 서막 '코로나' 코로나 팬데믹은 농업 부문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으며, 농산물 수출 부동의 1위 국가인 미국도 멕시코인들의 입국 불허로 생산에 차질을 빚었는가 하면 한때 프랑스 포도 생산도 멈췄다. 쌀 수출 1위국인 인도에 이어 캄보디아가 쌀 수출을 중단했는가 하면 우선 자국이 살려는 식량 판매 기피로 농산물이 무기로 변하는 시대가 닥친 것이다. 이런 위기 상황인데도 우리나라 곡물 자급률은 22%에 불과하다. 일본 26%보다도 낮은 바닥 수준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식량 위기는 거의 필연적이라고 경고한다. "반도체 몇 개로 먹는 것 해결되는 것 아니냐"는 상황 인식은 현실을 모르는 소리다. 코로나 팬데믹은 "휴대폰 없이는 살아도 안 먹고는 못 베긴다"는 냉엄한 우리네 먹거리 현실의 민낯을 들춰냈다. 이런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미래 식량 대책은 국가적 위기가 될 수밖에 없다. 식량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곤충산업이 떠오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대량생산 체제를 갖춰 농촌을 살리고 미래 식량을 선점할 수만 있다면 곤충 산업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대세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어떤 곤충들이 식량을 대체 할 것인가 ? ◆누에는 약용성이 뛰어나 제품개발이 가장 활발한 인기곤충이다. 일반적으로 가축하면 소나 말, 양등 사육동물을 말한다. 지난 2019년 7월 제정된 축산법에는 곤충 14종을 가축으로 규정한다. 일반인도 알고 있는 뽕잎으로 키우는 누에, 장수풍뎅이, 여치, 귀뚜라미, 호박벌 같은 종류도 있지만 머리뿔가위벌, 톱사슴벌, 갈색 거저리 같은 다소 생소한 것도 있다. 왕지네 같은 꺼림직한 종류까지 포함하고 있다. ◆쌍별 귀뚜라마 최근 식품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쌍별 귀뚜라미 곤충 산업은 사육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판매 활동 전반을 말한다. 예전에는 누에로 대표되는 잠사 산업이나 꿀벌 사업을 일컫는 양봉산업이 대표적이었다. 오늘날은 환경 정화 곤충 산업, 문화 곤충(축제·학습·애완), 식용 곤충 산업으로 사육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굼뱅이는 겨울잠에 들어간 굼벵이는 황금알을 낳는 곤충으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전남에서 곤충 산업이 발달한 계기로는 1999년 시작된 함평 나비축제가 기폭제로 작용했다. 함평나비 축제는 살아있는 생물, 즉 곤충이 소득 자원이 될 있다는 자각을 심어주는 계기였다. 유례를 찾기 힘든 성공으로 곤충을 다시 보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국외적으로는 2015년 유엔 보고서가 곤충 산업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지구촌 인구는 100억에 달하지만 단백질 자원 부족으로 인류가 고통받게 된다는 결론이었다. 100억 지구촌 인구가 먹고살려면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소사육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많은 땅을 필요로 하고 온실가스를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됐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