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은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고려청자를 실은 운반선체를 인양하기 위한 발굴작업을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는 7월 4일부터 26일까지 실시한 1차 발굴조사에 이은 것으로 배 주변에 흩어져있던 청자 720여점을 인양했던 1차 발굴과 달리 배와 배에 실린 고려청자를 대상으로 한다. 전시관은 일단 해상에 수중전용 발굴선박과 바지선·예인선을 정박시킨 뒤 에어리프트를 이용해 해저의 흙을 제거한 뒤 안전하게 유물을 인양할 계획이다. 유물은 현지에서 응급보전처리를 실시하고 선체는 최적의 인양방법을 동원해 육상으로 운반해 보존처리할 예정이다. 전시관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청자는 12세기 중후반 무렵에 대표적인 청자 산지인 강진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약의 상태가 매우 양호한 최상품으로 왕실이나 귀족층이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청자운반선은 동서방향으로 침몰돼 있다. 선체에는 다량의 청자가 종류별로 겹겹이 층을 이뤄 매장돼 있다. 청자는 사이사이에 완충재를 넣고 쐐기목재와 끈으로 묶어 포장한 뒤 운반선에 적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관계자는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선체의 구조 및 청자적재 방법 등이 밝혀지면 남해에서 서해로 이어지는 고려시대 해상항로와 선박사, 도자사, 생활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