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2년(1471) 봄 김시습은 서울로 왔다. 누군가의 충고가 있었다고 한다. 원각사 낙성식에 다녀온 지 6년, 어느 덧 삼십대 후반이 되었다. 처음에는 서울과 근교를 옮겨 다니며 살다가 수락산에 폭천정사(瀑泉精舍)를 마련하였다. 역시 작은 밭을 일구었다. 이 시기 김시습은 많은 사람과 만났다. 옛 성균관 동료와 어린 시절 동네 친구들도 상봉하였고 족형 손순효(孫舜孝)와도 끊겼던 소식을 이었다. 서거정·김수온(金守溫) 등 당대 명사와도 서로 찾았다. 벼슬할 생각이 없지 않았지만 바로 뜻을 접었다. 김시습에게 배우러 오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전부 받아주지 않았다. 어떤 때는 '목석으로 내리치고 활을 겨누어 쏘는 시늉을 하였으며 비단옷 입은 고관의 자제에게도 논밭에 나가 일을 시켰다'고 한다. 그러다 마음이 맞으면 생각을 풀었다.『매월당집』에 수록된 잡저(雜著)와 논(論)·설(說)·변(辨)·의(義) 등은 이때의 작품이다. 김시습의 문장은 생동감과 박진감이 넘쳐났다. 유불선(儒佛仙)을 넘나들며 흔쾌하며 명랑하고 도도하게 우주와 인간, 운명과 천명, 성인과 임금, 신하와 선비의 길을 자유자재로 풀었다. 대체로 객이 묻고 자신이 답을 하는 대화체로 엮었다. 문장은 기탄이 없었다. 어떤 사람이 하늘이 추락하지 않는 이유를 물었을 때였다. 김시습은 바로 면박을 주었다. "한심하다. 그대는 어찌 그리 꽉 막혔는가!" 그리고 이어갔다. 『하늘은 위가 없고 끝도 없이 온통 기운[氣]으로 차서 둥글게 돌아갈 뿐이다. 해와 달과 별은 깃발 같은 줄로 꿰맨 것이 아니라 밝은 빛[光明]으로 이어져 있어 굳건하고 그침이 없는 것이다. 「천형(天形)」』 하늘은 무형(無形) 무애(無涯)의 기체(氣體)인데 어찌 무너지며 일월성신(日月星辰)은 광명으로 이어져 있는데 어찌 떨어질 수 있는가, 한 것이다. 광명이 하늘의 바탕 즉 본체였다. 조금도 어김없는 천시(天時)도 광명 때문이었다. 『하늘의 움직임은 끝이 없고 변화무상하지만 일순간이라도 망동하지 않는 바탕에는 바로 광명(光明)이 있다. 그러므로 절기가 나뉘고 더위와 추위가 반복되니 이것이 바로 천시(天時)다. 「북신(北辰)」』 옛 성인은 바로 천시를 살펴 '사람의 때[人時]'와 '사람의 일[人事]'을 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농사와 의약, 예악과 같은 문명을 창조할 수 있었다. '사람의 길[人道]'도 다른 것이 아니었다. "하늘의 운행(運行)에 따른 절기를 지키며 생업을 근실히 해서 임금과 부모를 섬기고 처자를 잘 기르면 되는 것이다." ◆운명과 천명 하늘은 인간에게 어쩔 수 없는 무엇을 내렸다. 하늘의 운수(運數)에 맺힌 운명이었다. 누군가 재앙을 막는 길을 물으며 '사람의 팔자(八字)가 모두 다른데, 전쟁이 나고 배가 전복되어 한 날에 죽은 것은 무엇인가' 한 적이 있었다. 운명이 다른데도 동시에 재앙과 죽음을 겪게 된 까닭을 물은 것이다. 쉽게 답할 수 없는 문제인데도 가볍게 풀었다. 『무릇 운수에는 대기(大期)가 있고 소기(小期)가 있으니, 대기란 음양이 열리고 닫히는 것이며 소기는 한 시[一時], 한 날[一日], 한 달[一月], 한 해[一年], 한 세대[一代]로 나뉜다. 한 시의 운수가 기후이며 하루의 운수가 밤낮이며 한 달의 운수가 그믐과 초하루이며 일 년의 운수가 추위와 더위이며 일대의 운수가 인간 세상이다. 사람과 물건이 함께 죽는 것은 대개 운수가 다하여 피할 수 없이 끝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미재」』 인간과 만물의 하나하나의 운명은 하늘의 움직임이 연출하는 장단(長短), 대소(大小), 완급(緩急)의 운수에 엉켜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마음대로 할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는 것이 운명 내지는 숙명이라는 설명이었다. 이렇듯 하늘은 인간에게 하늘의 운수가 빚어낸 어쩔 수 없는 운명을 내렸다. 그런데 하늘은 인간에게 또 다른 명을 내렸다. 하늘의 길[天道], 하늘의 이치[天理]를 따라서 살아야 한다는 명, 즉 천명(天命)이었다. 따라서 인간이라면 천명에 따라 인간다운 길을 가려고 하여야지, 어쩔 수 없는 운명을 거역하며 개인적 복이나 구하려는 요행을 바라서는 아니 된다. 즉 인간의 진정한 운명은 하늘에 대한 무한 경배, 즉 천명의 받아들임이었다. 이것이 바로 인간의 길 즉 인도(人道)였다. 김시습은 천명과 인도의 본질을 『중용』 첫 장 '하늘이 내린 천명(天命)을 성(性)이라 하고, 성을 따르는 솔성(率性)을 도(道)라 한다'는 명제로 풀었다. 즉 하늘은 만물을 낳고 기르고 거두며 감추는 생장수장(生長收藏) 즉 원형이정(元亨利貞)에 해당하는 인의예지의 본성을 인간에게 부여하였으니, 인간의 인성 구현의 길은 하늘의 명령이라는 것이다. 이른바 '천부인성론(天賦人性論)'이었다. 인간의 본성은 만유보편으로 누가 독점하는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성을 따르는 솔성(率性)의 도 역시 누가 준다고 얻을 수 있거나, 누가 방해하여 빼앗을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다. 일찍이 공자가 '도(道)는 길[路]과 같다'고 한 말의 뜻도 여기에 있었다. 인간이라면 '함께 가야 하는 길'이 바로 도(道)였다. 김시습도 '도는 천하의 공물(公物)이다'고 하였다. 도를 모든 인간 만유의 보편가치로 본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도의 주인이 될 수는 없었다. 인간의 의지가 어디에 있는가가 문제였다. 『도(道)에 뜻이 있으면 의리(義理)가 주인 되어 물욕(物欲)이 옮겨오지 않고 사리(私利)에 뜻을 두면 물욕이 주인 되어 의리가 들어올 수 없다. 「복기(服氣)」』 도에 뜻을 두면 하늘이 사람을 낸 마땅한 의리를 구현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물욕의 화신이 된다는 것이다. 같은 인간이지만 성인과 범인의 차이도 여기에 있었다. 성인은 하늘을 믿고 낙관하였다. 『주역』과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어록으로 풀었다. 『공자는 '천하에서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근심하랴' 하며 천도(天道)를 의심하지 않으셨고, 또한 '사시(四時)가 운행하고 백물(百物)이 생겨나니, 하늘이 무슨 말을 하랴'고 하며 쉼이 없고 더할 수도 없는 태극의 성(誠)을 말씀하셨다. 「태극설(太極說)」』 즉, 제 욕심을 버리면 하늘에 어긋나지 않고 하늘에 떳떳한 마음과 생각이 절로 자라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길을 찾는 수양법이 이른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는 일이었다. 맹자의 가르침이었다. 「복기(服氣)」에서 풀었다. 『"우주에 가득한 호연한 기운을 제 몸에 채우면 봄바람이 사지에 퍼지듯 하여 마음이 모두 녹아나니 하늘을 올려다보나 땅을 내려다보나 부끄러운 모습이 없고 인색하거나 교만한 몸짓이 없게 된다." 』 우주적 사고, 자연과의 대화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다짐이었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