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의 발생원인과 진단방법 | | | 입력시간 : 2010. 12.04. 00:00 |   |
종양의 발생원인과 진단방법 종양의 발생원인을 보면 주요원인으로는 흡연, 음주, 여러 발암물질들에 대한 직업적인 노출, 환경오염, 방사선에의 노출, 자외선, 각종약물, 바이러스등 식이 및 영영상태도 관여하고 대장암과 유방암의 경우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모든암의 약 80~90%는 생활습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생활습관과 환경적 요인등의 개선을 통하여 암의 발생을 방지할수도 있다. 대부분 외부에서 가해지는 환경적 요인과 생체 또는 세포내에 존재하는 유전적 요인으로 분류된다.
종양발생의 환경적 요인으로 화학적 발암물질, 방사선 발암인자, 종양 바이러스등이 있다. 화학적 발암물질은 DNA에 손상을 주어 폐암이나 백혈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벤젠성분을 갖는 화합물로 담배, 동물성 지방, 탄음식등을 포함하며 DNA, RNA, 단백질과 결합하여 손상을 일으켜 폐암 및 음낭암 등을 유발시킨다.
피부암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석탄타르가 있다. 피부암 및 간암을 일으키는 공업용 색소가 있고 자연에서 나타나는 발암성분으로 균류에서 만들어진 독성으로 잘못 저장된 곡물, 땅콩등에서 발생하는 아플라톡신B1은 대표적 간암의 발암물질이다.
니트로사민 및 아마이드는 대표적인 위암 발암인자이고 소화관이나 주요 경계부위 암을 유발시킨다. 방사선 발암인자는 방사선이 조사될 경우 돌연변이 유발성이 높아져 암의 원인이 되는데 방사물의 영향으로 노화가 촉진되고 종양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며 분열장애를 초래하여 종양이 형성된다.
종양바이러스가 있다.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종양을 유발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러스를 말한다. 유전적 요인이 있다. 종양유전자는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로 정상적인 상태에서 그러한 유전자는 세포성장과 발달 역할을 담당한다.
이후에 외부 환경의 유해한 자극에 의해 언제든 암세포가 전환할수 있다. 종양유전자는 자율성을 갖는 세포의 무한한 증식을 갖게 된다. 종양의 악성도와 병기가 있다. 암의 악성도는 종양세포의 세포학적 분화를 의미하며 악성종양은 분열도가 높으며 악성도와 분열도가 낮을수록 예후가 좋다.
종양의 병기를 구분하는 목적은 치료의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며 예후에 대한 어떤 지침을 제시하고 치료의 결과들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며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대표적 병기 결정방법은 원발암의 크기, 주위 림프절으로의 확산정도, 혈액성 전이의 유무가 있다.
조기암과 진행암이 있으며 조기암은 주위조직을 침윤하기 시작한 암이라도 아직은 작은 범위이거나 침윤이 점막증에 국한된 암으로써 상피내암의 단계이다. 진행암은 조기암의 시기를 지나 광범위한 전이를 하거나 상피증 이하로 깊숙이 침윤된 암이다.
종양의 진단방법으로 암을 진단하는 방법중 가장 좋은 진단방법으로는 의심되는 조직검체를 생검하여 육안적인 관찰을 통한 진단을 하는 조직학적 진단법이 있고 이 조직학적 진단다음으로 좋은 방법은 세포학적 진단이 있다.
기도, 방광, 요도, 자궁경부등으로 탈락하는 암세포들을 채취하여 세포학적인 염색법을 시행하여 세포들을 염색한뒤 현미경하에서 정상, 이형성 및 암세포를 감별하여 특히, 상피내암(자궁 경부암일 경우)을 진단할수 있기 때문에 폐암, 기관지암, 방광암, 요도 및 생식기암, 자궁경부암등의 조기진단에 이용된다.
이외 방법으로 방사선에 의한 진단이 있고 종양표지자에 의한 진단이 있는데 종양표지자란 암세포가 있는것을 나타내주는 물질을 총칭하는 말이다. 즉, 암세포가 만드는 물질, 또는 체내의 정상세포가 암세포와 반응해서 만드는 물질중, 혈액이나 조직, 배설물등에서 그 물질을 검사하는 것으로 암진단이나 치료의 지표로써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정의할수 있다.
류재문프로필:송원대학 재활과 겸임교수. 건강칼럼이스트 연구실:062-236-3114 Fax:062-228-3115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