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고소,고발만이 능사는 아니다." | 광주, 전남에서 화순군이 2위 차지
"무조건 고소, 고발, 진정하고 보자" 문화 팽배
| | | 입력시간 : 2011. 02.21. 00:00 |   |
전남 S市의 정치정서는 극과 극의 정치적 성향 때문에 고소와 고발이 난무하고 있어 지역발전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화순군 지역 정가 역시, 군수 선거와 관련하여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9년에는 전완준 현 군수의 낙마를 위해 , 또는 특정당의 공천을 받은 현 군수 후보를 사전에 치밀하게 모의하는 등, 고소와 고발, 심지어는 자신들에 역행 한다고 전완준 군수의 주위 사람들을 고소, 고발, 진정도 모자라 언론기사에 대한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를 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몇년전만 해도 군수와 특정 정치인을 상대로 고소,고발, 진정이 15건이 상회했으나 결국 무혐의로 끝난 적이 있다.
언론중재위원회 광주 중재부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한달 전체의 언론 중재신청 중 70%이상이 화순과 관련 하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어 지역정서가 매 말라 있다는 평을 듣고있다.
지난 해 11월경 전형준 전 군수를 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한 Y 모씨, 그리고 고발자체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증인으로 신청한 H모 여인, K모씨, L모 여인, S모 여인들은 자신들의 실명이 거론된 인터넷 신문을 언론중재위원회 광주 중재부에 제소를 한 사실이 뒤 늦게 불거지면서 지역 주민들은 "지역정서를 양극으로 갈라놓는 행위, 지역민의 정서를 저해하는 행위" 라고 좋지 않는 시각으로 보고 있다.
일반은 기사에 대한 언론중재는 보통 정정 보도를 요구하고 있으나 이들은 유별나게 금전적인 손해배상을 신청하고 있어 돈을 위한 특별한 양상이라는 여론이 띄워지고 있다.
재소를 당한 언론사들은 독자의 알 권리를 위해서 보도를 했음에도 특정세력에 동조를 하는 무리들은 지금까지 뒤에서 숨어서 익명으로 고소,고발을 일삼아 왔으나 지역의 화합과 고소고발의 재발 방지를 위해서 실명으로 거론했는데도 이를 명예훼손으로 검찰에 고소하고,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했다.
뿐만 아니라 전형준 전 군수를 선거자금문제로 선거법위반으로 검찰에 진정한 모 단체 사무국장 j 모씨 역시 변호인과 증언에 의해서 고발과 증언이 허위로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 무고와 위증의 위험에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 가면 그들의 고소고발의 명분은 없어지게 되고,고소고발을 했던 자들은 무고의 혐의를 벗어날 수 없게 되며, 여기에 동조한 증인으로 나선 이들 역시 위증의 벌을 면치 못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눈앞의 나무 한 그루만 보지말고 뒤의 광활한 숲을 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자신들이 하면 로맨스이며, 타인이 하면 불륜이라는 아전인수격의 행위다.
최재승 기자 jachi2580@hanmail.net 최재승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