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양에 관해(3) 다당류(207호) | | | 입력시간 : 2011. 05.31. 00:00 |   |
다당류가 있다. 수백, 수천개의 포도당이 결합되어 분자량이 매우 큰 물질이다. 산과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단당류로 된다. 먼저 전분이 있다.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종자류, 뿌리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곡류, 고구마, 감자등의 주성분이며 덜익은 바나나, 사과등에 함유되어 있다. 덱스트린이 있다. 전분이 효소, 산등에 의하여 가수분해 되어 맥아당으로 될 때 생기는 중간산물이다. 구조에 있어 전분, 글리코겐과 흡사하다. 발아중인 곡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혈액의 손실 때 혈액의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글리코겐이 있다. 동물성 전분으로 간장, 근육에 함유되어 있고 조개류, 굴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산이나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되면 포도당이 된다. 우리가 열량이 높은 식사를 하게 되면 혈중 혈당량이 증가하여 간과 근육세포내에서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저장된다.
반대로 혈중 혈당량이 저하되면 간과 근육세포내의 글리코겐이 복잡한 화학반응을 거쳐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보통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의 양이 100g정도이며 약 400kcal열량을 내며 이는 남자, 여자대학생 3.2~4.5시간 사용가능한 열량이며 더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할 때 지방이나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근육내에서 글리코겐은 다른 어떠한 효소의 도움도 없이 오직 근육의 운동에 의해 글리코겐이 젖산으로 분해되고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에너지로 사용가능하다.
셀룰로오스인 식이섬유소가 있다. 인에서는 분해시키는 효소가 없다. 즉 소화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동물의 내장, 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위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분해하는 셀룰라아제에 의해서만 분해된다.
헤미셀룰로오스가 있다. 섬유질 성분중의 한 성분으로 식물세포의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 분자량이 셀룰로오스에 비해 작다. 식이섬유소인 셀룰로오스와 헤미 셀룰로오스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대변으로 바로 배설된다. 장속의 다른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이 주요한 작용이다.
펙틴이 있다. 식물의 뿌리, 줄기, 과실류에 존재하며 세포와 세포사이를 결착시켜주는 물질이다. 펙틴은 뜨거운 물이나 찬물에 의해 추출이 가능하며 적당량의 산과 당을 혼합하면 겔을 형성한다. 사과, 레몬, 오렌지등의 감귤류의 껍질이나 일부 야채류에 함유되어 있다. 소장내의 당질분해 효소로는 췌장의 아밀롭신과 장액의 수크라제, 말타아제, 락타아제등이 있다.
다당류인 전분은 아밀롭신에 의해 맥아당으로 분해되고 말토스는 말타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수크로스는 수크라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된다. 락토오스는 락타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당질은 완전히 소화되어 단당류로 되면 소장에서 흡수한다. 소장의 융모, 미세융모를 통해 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흡수된 단당류는 문맥을 통해 간으로 운반되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저장된다. 당질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주된 급원이다. 소화 흡수된 당질은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전환된다.
포도당은 에너지를 생성하며 나머지는 간이나 근육에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되는데 간은 약 100g, 근육에는 약 250g의 글리코겐이 저장된다. 차후에 간에서는 직접적으로 포도당으로 전환되며 근육속의 글리코겐은 간접적으로 포도당으로 전환된다. 참고하여 유당은 소화되지 않으면 복부팽만을 발생시켜 경련과 복통, 설사를 유발하여 소화불량 상태가 된다. 소화효소인 락타아제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 소량씩 섭취하여 내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류재문프로필: 송원대학교 재활과 겸임교수. 미래간호학원장. 건강칼럼니스트 연구실: 062-236-3114 Fax:062-228-3115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