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분비선과 전엽호르몬 | | | 입력시간 : 2014. 02.27. 00:00 |   |
내분비선은 관이 없는 분비선으로 내분비선의 분비물은 내강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직접 혈류속으로 들어가 표적세포로 운반된다. 내분비선에는 뇌하수체선,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난소와 고환 등이 있다.
호르몬은 음식물을 대사하고 에너지를 생성,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이루고 신체적, 지적 성장발달을 도우며 임신, 분만, 수유와 같은 생식과정을 조절하는 등의 신체의 전반적 기능을 통합, 조절한다. 내분비선의 장애는 시상, 뇌하수체, 피드백 계통의 기능장애로 나타나며 질환들은 호르몬의 과잉생산이나 생산부족으로 나타난다.
우선 내분비선의 가장 우두머리라고 할수 있는 뇌하수체는 두 개저의 접형골 터어키안에 자리잡고 있는 0.5~0.6g정도의 작은 기관으로 선하수체와 신경하수체의 두 부분으로 나누며 선하수체는 전엽, 신경하수체를 후엽이라고 한다.
뇌하수체는 인체의 주선으로 다른 내분비선을 조절하고 조정하는 작용을 하며 신체의 성장과 성의 발달, 성기관의 계속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전엽호르몬은 선하수체에서 분비되며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방출호르몬과 억제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있다.
전엽호르몬(선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자극호르몬과 종말호르몬이 있다. 자극호르몬은 갑상선 자극호르몬,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여포자극호르몬이 포함되며 종말호르몬에는 최유호르몬과 성장호르몬이 있다.
성장호르몬은 장골의 골단 연골부에 있는 연골세포를 증식시키고 장골의 길이를 증가시켜 신체의 발육을 조절한다. 뼈의 성장을 자극하고 촉진시키지만 직접 골격에 투여하면 성장촉진의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다.
인체에 투여된 성장호르몬이 간과 근육에서 소마토메딘을 생성하면 소마토메딘이 뼈와 다른조직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으로 추측된다. 성장호르몬은 세포막을 통한 아미노산의 이동과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시키며 연골의 형성과 칼슘의 침착을 증가시켜 뼈의 성장을 촉진한다.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열량 자원을 공급하여 공복시 저혈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포자극호르몬은 난소의 여포성장을 촉진하여 배란이 될 때까지 성숙시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포자극 호르몬이 난소를 자극하여 월경주기를 조절하고 있어서 여성의 경우 정상적 월경기능이 중단되면 뇌하수체 질환의 징후를 의심해 볼수 있다. 남성의 경우, 여포자극 호르몬은 정자의 성숙과 정세관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황체형성호르몬은 황체의 형성을 촉진하며 여포자극 호르몬과 함께 여포의 완전성숙을 도모하여 배란을 도와준다. 배란후에는 황체형성을 촉진하여 황체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남성의 경우, 정소의 간질세포를 자극하여 남성호르몬인 엔드로겐의 분비를 증가시키므로 간질세포자극 호르몬이라고 한다.
갑상선 자극호르몬은 갑상선에 자극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를 촉진시키는데 갑상선 자극 유리호르몬의 분비에 따라 갑상선호르몬 분비는 조절된다. 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온도, 티록신, 삼요오드티로닌의 혈중농도 등이 있다.
유즙분비자극 호르몬은 유즙의 생성과 분비를 자극하는 호르몬으로 임신 약 5주부터 분비가 시작되어 임신말기에 분비가 최고조에 이른다. 임신중에는 호르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이 유즙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유즙분비가 되지 않는다.
분만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분비가 현저히 저하되면 프로락틴이 제 기능을 발휘하여 유즙분비가 가능해진다.
류재문프로필: 서영대학교 보건행정과 겸임교수. 인체해부연수교육개발원. 미래간호학원 연구실:062-236-3114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