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내년 1만7000명 채용 등 소식 | ◆<정부>공공기관 내년 1만7000명 채용
◆<국정감사>황주홍“전남, 워킹푸어 전국 최다” | | | 입력시간 : 2014. 11.03. 00:00 |   |
◆<정부>공공기관 내년 1만7000명 채용…
올해보다 2.9% 증가…전력공기업·국립대병원 채용확대 주도
내년 302개 공공기관에서 모두 1만 7000여명을 신규 채용한다. 또한 스펙초월 채용, 시간 선택제, 고졸자 신규 채용도 더욱 확대된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4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 개막식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공공기관 정상화 추진의 결과를 생산성 제고와 고용확대로 연결해 한 단계 도약해야 한다”며 “내년도 302개 공공기관의 신규채용과 관련해 창조경제 견인, 국민 안전 확보 등에 올해보다 2.9% 늘어난 1만 7000명을 신규로 채용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공공기관에서 새롭게 도입하고 있는 스펙초월 채용, 시간 선택제, 고졸자 신규 채용도 지속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열린 2013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상담을 받기 위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올해는 서울 코엑스에서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열린다.
기재부가 이번 박람회를 계기로 공공기관 내년도 신규 채용 계획을 잠정 집계한 결과, 302개 공공기관에서 총 1만 7187명을 채용할 계획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의 채용규모는 2011년 9538명→2012년 1만 4452명→2013년 1만 5372명→2014년 1만 6701명 등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한편, 내년도 고졸자 채용규모는 134개 기관 1722명으로 전체 채용규모의 10% 수준이며,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119개 기관에서 817명(전일제 환산시 450명)을 채용할 계획으로 파악됐다.
고졸자 채용규모는 한국전력공사(240명), 한국수력원자력(162명), 강원랜드(159명), 한국철도공사(80명) 순이며,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규모는 한국전력공사(100명), 한국수력원자력(61명), 한국철도공사(40명), 국민건강보험공단(30명) 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자·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채용직무는 서무·회계 및 고객안내 등 보조적 업무는 물론이며, 송변전·배전(한국전력공사), 발전소 운전·정비(한국수력원자력), 철도수송 업무(한국철도공사), 보험급여 업무 전반(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기관 고유 직무도 포함돼 있다.
기관별 채용계획 규모를 살펴보면 내년도에 500명 이상 대규모 신규 채용 기관은 ▲한국수력원자력(1276명) ▲한국전력공사(1000명) ▲경상대학교병원(935명) ▲부산대학교병원(928명) ▲서울대학교병원(792명) ▲국민건강보험공단(639명) ▲강원랜드(518명) 등의 순이다.
특히, 올해에 비해 채용규모가 크게 확대된 기관은 병상 시설이 증대되는 국립대병원과 국내 변전소 시설 확대 및 아랍에미리트(UAE)원전의 사업량이 증가하는 전력공기업 등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대병원은 728명이, 한수원은 452명, 한전은 266명, 부산대병원은 226명, 코레일네트웍스는 144명이 올해보다 각각 늘어난다.
반면, 정상화 이행 방안에 따라 자체 인력을 효율화한 한국철도공사 등과 국민연금공단의 기초노령연금 사업 등 신규사업의 인력 확충이 완료되는 기관의 경우 올해에 비해 채용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철도공사가 405명으로 올해에 비해 441명이 줄며, 국민연금공단은 190명을 신규채용해 올해보다 278명이 줄어든다. 서울대병원(329명)과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186명) 등도 감소가 예상된다.
단, 내년도 채용계획은 잠정적인 규모이며 기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국정감가>황주홍“전남, 워킹푸어 전국 최다”
올해 국세청이 지급한 근로장려세제 비율, 전남 최상위권
직업이 있어도 살기가 팍팍한 이른바 워킹푸어가, 전남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황주홍 의원(전남 장흥․강진․영암)이 2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근로장려세제(EITC) 지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전남의 EITC 지급 비율이 6.3%로 전국 평균 4.3%보다 2% 포인트 높았고, 서울(3.0%)보다는 두배 이상 높았다.
전남은 전체 68만 5천가구 가운데 4만 3천 가구가 근로장려금을 받았다.
근로장려세제(EITC)란 노동을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장려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가구형태에 따라 가구 소득이 적게는 1300만원에서 많게는 2500만원 미만인 근로자 가구에 연간 최대 210만원까지 지급된다.
EITC 지급 비율이 높은 것은 그만큼 근로 빈곤층이 많다는 뜻이다.
각 지방 국세청별 EITC 비율은 광주청이 6.0%로 가장 높았고, 대구청 5.5%, 대전청 4.9%, 중부청 3.9%, 부산청 4.3%, 서울청 3.0%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제주 6.4%, 전남 6.3%, 전북 6.3%, 강원 6.1%, 경북 5.9%, 광주 5.4%, 충북 5.3%, 충남(세종시 포함) 4.9%, 대구 4.9%, 대전 4.5%, 경남 4.4%, 부산 4.3%, 인천 4.3%, 경기 3.5%, 서울 3.0%, 울산 2.9% 순이었다.
황 의원은 “지방의 경제가 특히 어렵다보니, 일을 해도 가난한 사람들이 많은 것”이라며 “지방의 경제난을 해소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빈곤의 대물림을 끊어야 한다”고 밝혔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