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의 역할과 쓸개즙 | | | 입력시간 : 2015. 08.01. 00:00 |   |
간, 쓸개(담낭), 이자는 분비액을 샘창자(십이지장)로 배출하며 이는 음식물의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간은 우상복부 중앙에 위치한 크고 적갈색을 띤 기관으로 가로막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오른쪽 가슴우리가 감싸고 있으며 신체에서 가장 큰 선으로 인대에 의해 두 개의 엽으로 나뉘어 있고 오른쪽 엽이 더 크며 피막으로 불리는 섬유성 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간은 생명에 필수적이며 여러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우선 쓸개즙염의 합성과 쓸개즙의 분비역할로 쓸개즙염은 지방의 소화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장 단백질의 합성기능으로 이는 혈류량의 유지와 혈액의 응고작용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장기능으로 당원 형태의 포도당과 지용성 비타민과 비타민 B12등의 많은 물질들을 저장한다.
해독작용으로 약물과 다른 독성물질 등을 해독하는 역할을 하며 신장을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물질의 변화를 준다. 외분비작용을 한다.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약물을 포함한 많은 물질들을 분비한다.
탄수화물 대사 기능으로 간은 혈액의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 대사기능으로 다양한 아미노산을 생성하며 암모니아로부터 만들어진 질소는 간에서 요소로 전환되고 신장에서 배설된다.
암모니아는 신체에 아주 해로운 독성물질이어서 배출되어야 한다. 지방대사기능으로 지방산을 분해하고 콜레스테롤과 인단백질들을 합성하고 과잉 섭취한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지방으로 전환시킨다. 식세포 식작용으로 쿠퍼세포는 간의 대식세포로 세균과 다른 물질들을 식작용 할 수 있다.
간은 간문맥계라는 독특한 혈관구조를 가지고 있다. 간은 대부분의 혈액을 제공하는 문맥과 간동맥인 두 개의 혈관으로부터 약 1분에 1.5L의 많은 양의 혈액을 공급받는다. 문맥은 모든 소화기관에서 온 혈액을 받고 간동맥은 대동맥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간으로 전달한다.
문맥은 소화의 최종산물(영양소)이 풍부한 혈액을 간으로 전달하며 혈액은 간정맥을 통해 아래대정맥으로 흘러가 심장으로 귀환한다. 간은 기능적 단위인 수천 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엽들은 혈관과 간세포의 특이한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간 동맥과 문맥에서 소엽으로 들어오는 혈관에 의해 이 세포들은 혈액을 공급받게 된다. 쓸개즙(담즙)은 간에서 생성되고 쓸개주머니에 저장되어 있는 연녹색 분비물로 물과 전해질, 콜레스테롤, 쓸개즙 색소, 쓸개즙염으로 구성된다.
쓸개즙색소인 빌리루빈과 담록소는 늙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으로부터 형성되며 가장 풍부한 성분으로 쓸개즙염은 소화의 기능을 가지며 지방의 소화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24시간 동안 800~1.000ml 정도 분비된다.
빌리루빈의 분해산물인 쓸개즙색소는 대변을 갈색으로 만들며 때때로 담석은 온쓸개관(총담관)이 막히게 되며 온쓸개관의 폐색은 회색이나 점토 색깔의 대변이 특징이다. 쓸개즙염은 간에 의해 콜레스테롤로부터 형성된다. 간, 쓸개주머니, 샘창자를 연결하는 관을 쓸개계(담도계)라고 한다.
류재문 프로필: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중국해부연수팀장 연구실:061-360-5193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