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상샘의 이해와 관련질환 | | | 입력시간 : 2016. 04.30. 00:00 |   |
갑상샘은 잘록(협부)이라는 좁은 띠로 연결된 두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두 바로 아래 기관의 양 옆쪽에 위치해 있으며 큰 내분비샘 중 하나이고 혈관이 풍부한 기관이다. 주 기능은 갑상샘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으로 갑상샘호르몬은 세포내 수용체와 결합하여 대사율을 조절하고 갑상샘 소포에서 생산되어 저장되어 있다.
갑상샘 소포들 사이는 모세혈관을 함유하고 있는 칼시토닌을 분비하는 소포곁세포가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 갑상샘 호르몬의 분비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생산된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시상하부는 갑상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을 분비하며 이 분비호르몬은 뇌하수체 앞엽을 자극하여 갑상샘자극호르몬이 분비되도록 자극한다.
갑상샘자극호르몬은 갑상샘에서 갑상샘호르몬을 분비하게 자극한다. 호르몬은 밤에 약간 더 농도가 높으며 갑상샘자극호르몬의 농도가 증가하면 갑상샘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고 농도가 감소하면 갑상샘호르몬의 분비도 감소한다.
갑상샘호르몬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음성되먹임 작용을 하며 이 음성되먹임 작용 때문에 갑상샘호르몬의 혈중농도는 작은 변동을 나타낸다. 음성되먹임 작용이 소실되면 갑상샘자극호르몬이 지나치게 분비되어 갑상샘의 크기가 커져 갑상샘종이 발생할 수 있다.
갑상샘호르몬이 정상보다 부족한 상태를 갑상샘기능저하증이라고 하며 영아시기의 갑상샘저하증은 정신지체, 왜소함, 뼈대구조가 비정상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틴병을 유도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갑상샘저하증은 대사율의 감소, 무력감, 일상활동능력의 감소, 점액부종을 초래할 수 있다.
점액부종이란 피부밑조직에 액체와 다른 분자들이 축적되는 것이다. 갑상샘호르몬이 정상보다 증가된 상태를 갑상샘항진증이라고 하며 대사율의 증가, 극심한 신경질적인 반응, 만성피로감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샘항진증의 한 종류로 갑상샘호르몬의 분비를 연속 자극하며 흔히 눈이 돌출되는 안구돌출증이 동반된다. 갑상샘이 갑상샘호르몬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요오드가 필요하며 요오드는 갑상샘소포에 의해 흡수되며 호르몬중 티록신은 4개의 요오드원자를 함유하고 있어 T4로 표시한다.
다른 갑상샘호르몬인 삼요오드티로닌은 3개의 요오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 T3로 표시한다. 요오드 섭취량이 부족할 경우 갑상샘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한다. 또한 갑상샘은 소포곁세포에서 칼시토닌이라는 호르몬도 분비한다.
이 호르몬은 혈중 칼슘농도가 너무 높을때 분비되어 칼슘농도가 정상범위로 감소하도록 유도한다.
칼시토닌은 뼈파괴세포를 억제하여 뼈에서 칼슘을 재흡수하는 속도를 감소시킨다. 음식물에 포함된 고농도의 칼슘의 소화를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류재문 프로필: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연구실:061-360-5193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