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특성 | | | 입력시간 : 2017. 03.08. 00:00 |   |
단백질은 분해시 20여종의 아미노산으로 변하며 체내의 단백질은 여러 가지 아미노산의 연결로 구성된다. 헤모글로빈은 500여개의 아미노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근단백질의 미오신은 4.500개의 아미노산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근육이나 혈액,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성분이 된다.
섭취량이 부족시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이 분해되고 여러 가지 신체장애가 발생한다. 특히나 임산부, 아동들은 태아의 발육 및 성장에 꼭 필요하며 여분의 단백질도 필요하다. 고단백질을 섭취한 그룹이 체단백질의 저장량이 증가하고 근육의 양도 증가한다.
근력 및 근육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훈련하는 선수들의 경우 조직의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단백질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세포에 따라 단백질의 함유량에 차이가 있으며 뇌세포의 경우 단지 10%의 단백질을 함유하며 적혈구, 근세포의 경우 약 20%의 단백질을 구성하고 모든세포에는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고 세포막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성분이 되며 우리체내의 머리, 피부, 손톱, 건과 인대 등은 특별한 형태의 단백질 조직이다.
단백질은 생명현상의 본질을 맡은 필수영양소로써 주요역할은 다음과 같다. 세포, 생체의 구성성분이 된다. 물질대사를 움직이는 효소, 호르몬을 만든다. 단백질 이외의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의 재료가 된다. 단백질 합성의 기구를 통하여 유전현상을 발견한다.
헤모글로빈으로써 산소의 운반을 맡고 있다. 수용성, 지방단백질로써 지질을 운반한다. 단백질의 섭취는 근육과 골격, 세포조직과 산소를 재생하는데 꼭 필요하며 단백질은 계속하여 합성되고 분해된다. 또한 필요이상의 단백질 섭취는 땀과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여분의 단백질은 지방질로 변화한다. 동물성단백질 식품인 고기, 우유, 달걀, 치즈 등의 많은 양의 포화지방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을 과다 섭취하는 경우 혈액속의 지방,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고 신체지방의 증가, 고혈압, 심장병과 관련이 되기도 한다.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 경우 소금의 양 또한 증가하게 되고 고혈압이 악화될 수 있다. 인체에서 사용되고 남은 단백질은 저장되지 않고 간에서 지방으로 바꿔 지방으로 인체에 저장되어 비만을 유도한다. 효모나 누룩, 단백질 보충제, 알코올 등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 통증이 발병될 수 있으며 이는 혈액속에 요산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요산이 관절에서 결정체로 변화되는 질환으로 가족력과 관련 있다.
운동선수들이 일반인보다 더 많은 양의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섭취하려고 하는 것은 단백질은 근육의 부피증대에 사용되는 구성재료가 되며 손상된 조직의 회복에 사용되는 구성재료가 되고 신체활동의 에너지원료로 사용되며 신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되며 체지방감소를 위한 지방대사의 촉진을 위한 방법 등의 이유로 운동선수의 섭취량이 더 많다.
류재문프로필:인체해부연수교육개발원장. Tel)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