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를 살린 아들 | | | 입력시간 : 2024. 04.26. 13:30 |   |
조선 성종(成宗) 때, 큰 가뭄이 있었다.
전국에 기우제를 지내게 하고, 금주령까지 내렸다.
성종은 백성들과 고통을 함께하기 위해 뙤약볕을 맞으며 논을 돌아보고 있었는데 어디선가 풍악을 울리며 잔치하는 소리가 들렸다.
잔치가 벌어진 곳은 방주감찰(사헌부의 우두머리 감찰) 김세우의 집이었다.
"비가 내리지 않아 백성들이 고생하고 있는데, 나라의 녹봉을 먹고사는 자가 그럴 수 있단 말이냐!"
성종은 김세우는 물론 그 잔치에 참여했던 사람들까지 모두 하옥하라는 엄명을 내렸다.
김세우의 가족들은 아버지를 위해 아들들 이름으로 한 번만 용서해 달라는 상소문을 올렸다.
"국법을 어기는 것도 모자라 어린 자식들까지 시켜 용서를 빈단 말이냐?"
더욱 화가 난 성종은 그의 아들 모두를 잡아들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미리 소식을 전해 들은 김세우의 아들들은 몸을 피해 멀리 도망가고, 어린 아들 김규를 붙잡아 왔다.
"너는 어찌하여 다른 형제들처럼 도망가지 않고 잡혀 왔느냐?"
"아버지를 구하려고 글을 올린 것이 무슨 죄라고 도망가겠습니까?"
"이 상소문은 누가 썼느냐?"
"제가 썼습니다."
차츰 화가 가라앉은 성종은 오히려 기특한 생각이 들어 말했다.
"가뭄에 관한 주제로 글을 쓸 수 있겠느냐? 그러면 네 아버지를 석방하겠다."
김규는 성종의 말이 떨어지기도 전에 단숨에 글을 지었다.
"옛날 동해에 원한을 품은 여자가 하늘에 호소하자 3년 동안 비가 내리지 않았고, 은나라 탕 임금은 자신의 잘못을 책망하며 비를 빌었더니 비가 내렸습니다. 원하옵건대 임금께서도 이를 본받으소서."
성종은 그 글을 다 읽고 나서 이렇게 명령했다.
"네 글을 보고 네 아버지를 석방하고, 네 글씨를 보고 네 아버지의 동료를 석방한다.
너는 아버지에 대한 그 효심으로 나라에 충성하라."
남을 탓하기 전 자신을 돌아보고, 티끌만 한 잘못이라도 먼저 책임지고 용서를 구한다면
이 세상 용서받지 못할 일은 없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daum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