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갑상선호르몬의 역할 | | | 입력시간 : 2025. 01.09. 00:00 |   |
갑상샘의 뒷면에 묻혀있는 4개의 샘으로 혈중칼슘농도를 조절하는데 필수적인 부갑상샘호르몬을 분비한다.
혈중 칼슘농도 조절을 위해 칼시토닌보다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갑상선호르몬은 신장에서 활성비타민D 형성을 증가시키고 비타민D는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호르몬은 뼈모세포와 결합하여 뼈파괴세포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뼈조직에서 칼슘이 순환계통으로 분비되도록 유도한다.
호르몬은 신장에서 칼슘이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속도를 감소시키고 표적조직에 작용하여 혈중칼슘농도를 정상이 되도록 증가시킨다.
비타민D는 피부에 있는 전구물질로부터 생산되며 간과 신장에서 변형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작용은 비타민D 합성의 첫단계이며 마지막은 부갑상선호르몬에 의해 신장이 자극된다. 혈중 칼슘농도가 감소시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자극되며 칼슘섭취가 많이 부족하거나 비타민D결핍증이 있으면 혈중칼슘농도가 감소하여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한다.
증가한 호르몬은 뼈의 재흡수 속도를 증가시킨다. 혈중 칼슘농도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되고 뼈의 재흡수가 장기간 지속시 뼈의 밀도가 감소하여 뼈엉성증(골다공증)이 발병할 수 있다.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을 부갑상선항진증이라고 한다. 뼈가 약해져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하고 혈중칼슘농도가 증가시 신경과 근육세포의 흥분성이 감소하여 피로감, 근무력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연조직에 칼슘이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신장에서는 신장결석이 생길수도 있다. 반대로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을 부갑상샘저하증이라고 한다. 감소한 혈중 부갑상선호르몬은 뼈의 재흡수 속도와 비타민D 형성속도를 감소시켜 혈중칼슘농도를 감소시킨다. 혈중 칼슘농도가 낮아진 것에 반응하여 신경과 근육세포는 보다 흥분한 상태가 되어 자발적인 활동전위를 생산하고 근육경련이나 강축이 생길 수 있다. 심한 강축의 경우 호흡근육의 마비도 올수 있다.
류재문프로필:서영대학교 초빙교수 Tel.010-2640-3029
류재문 기자 jm-3029@hanmail.net 류재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