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F “한국경제 올해 5%, 내년 4.3% 성장” | | | 입력시간 : 2006. 11.11. 00:28 |   |
국제금융기구(IMF)는 우리 경제는 올해 완만한 경기하강 속에서도 여전히 근본적으로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올해는 5% , 내년에는 4.3%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그러나 미국의 경기후퇴가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 한반도의 정치지정학적 상황에 따른 기업과 소비심리 영향 등의 위험요인에 한국 경제가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제럴드 시프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부국장은 우리 정부와의 연례협의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국 경제는 올해 완만한 경기하강 속에서도 여전히 근본적으로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이 같인 전망했다.
IMF는 "소비 증가는 완만해 졌지만 상당한 기간동안 소비가 가계소득과 부채에 비해 빠르게 증가했던 것에 비춰 볼 때 뜻밖의 일은 아니다"고 진단하고 "건설분야의 활동은 바닥을 친 징후가 보인다"고 분석했다.
IMF는 또 "산업부문 생산량과 투자에 대한 최근의 자료는 약간의 강화까지 보여주며 견고하다"며 "한국은 뛰어난 수출실적을 지속행오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주요국 경제의 상승둔화와 맞물려 상승폭은 소폭 둔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경상수지는 전체적으로 올해와 내년에 걸쳐 약간의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하고,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은 현재 2%를 넘는 선에서 약간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나 전체적인 물가 압력은 내년에도 적당 선을 유지할 것으로 IMF는 내다봤다.
하지만 IMF는 "한국 경제는 주목할만한 위험요소들에 여전히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의 경기후퇴가 기대한 것보다 더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고, 최근의 북한 핵실험에 의한 경제적 영향도 아직까지 별다른 징후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한반도의 정치지정학적 상황 역시 기업과 소비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IMF는 판단했다.
아울러 낮은 유가가 소비둔화의 폭을 완화하고 물가상승률을 억제하는 완충장치로서 도움을 주고 있지만 내년에 유가가 현 수준보다 급격하게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IMF는 "현재 전체적으로 중립적인 거시경제정책 기조는 적절해 보인다"고 평가하면서 "한국 정책당국이 경기하강 위험이 가시화되는 경우에는 보다 경기를 진작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경기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IMF는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선 금융부문의 지속적인 발전과 중소기업 및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조치들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고령화와 관련된 대규모의 재정지출 압력에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