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이지 않는 손의 기적 | | | 입력시간 : 2008. 04.23. 00:00 |   |
어느 날 유명한 선생님이 길가에 서 계셨더니, 한 남자가 짐을 가득 실은 구레를 끌고 지나갔습니다.
큰 비가 내린 다음 날이어서 길은 대단히 질척거리는 뻘 길이었으며, 군데군데 깊이 패인 웅덩이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수레꾼은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조심조심 수레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조심스럽게 끈 보람도 없이 바퀴가 깊은 웅덩이에 빠져버렸습니다 . 수레꾼은 바퀴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온 힘을 다하여 수레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그때마다 실패하곤 하였습니다. 바퀴가 거의 다 올라왔는데도 조금의 힘이 부족하였기 때문입니다 . 땀에 흠뻑 젖은 수레꾼은 잠시 쉬기로 하였습니다. 지나가는 사람이 있을 경우 도움을 받고자 기다렸으나, 그날따라 한 사람도 오지도 가지도 않았습니다.
갈 길이 먼 수레꾼은 할 수 없이 다시 온 힘을 다하여 끌어 올리려고 하였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때 선생님께서는 당신의 모습을 감추시고 수레 뒤로 가셔서, 수레꾼이 있는 힘을 다해 끌어 올릴 때에 맞춰 손가락 하나를 짐에 대고 살짝 밀어 주었습니다. 손가락 하나로 미는 힘 만큼 부족하여 올라가지 못함을 알고 계셨기 때문입니다. 그러자 수레는 웅덩이에서 올라왔습니다.
선생님께서 도와주신 사실을 모르는 수레꾼은 어려운 일을 자력으로 해낸 성취감을 만끽하며 앞길을 서둘렀습니다.
수레꾼은 유명한 선생님의 도움을 입은 일을 영원히 모를 것입니다. 자기가 노력해서 마침내 웅덩이에서 수레바퀴를 끌어냈다고 믿고 있을 것입니다. 만일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수레바퀴가 웅덩이에서 빠져 나온지를 알았다면, 수레꾼은 무릎을 꿇어 선생님께 감사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였을 경우 문제를 자력으로 해결한 유능감 곧 세상을 혼자서 살아가는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율적인 생활 능력의 체득은 극히 적게 밖에 이루어지질 아니하였을 것입니다.
선생님의 힘에 의해서 웅덩이에서 빠져 나올 수 있었다고 하는 기쁨은 있었겠지만 평생을 남에게 의지하지 아니하고 살아 나아가는 자신감으로 가득찬 참다운 강한 생활력을 얻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전문가로서의 교사(어머니)는 이 선생님의 손가락과 같은 존재이어야 합니다. 그리하여 어린이들이 그들의 훌륭한 능력을 선생님(어머니)의 손가락의 도움을 감지하지 못하고, 그것을 자신이 능력으로, 자신의 힘으로 갈고 닦아 쌓아 올린 실력이라고 믿게 함으로써 유능감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교사의 참다운 보람은 여기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사(어머니)는 이와 같이 부처님의 손가락과 같은 훌륭한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시킴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아니하는 장면 속에 어린이들을 있게 하고 공부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럴 때 비로소 미래의 행복을 창출하는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아니하고 홀로 살아갈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날 것입니다.
이런 교사(어머니)야 말로 일급교사(어머니)일 것입니다.
이정재 <전 광주교육대학교 총장>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