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광주롯데갤러리 창작 지원전Ⅱ
리동인 개인전 사라져버린 넋 그리고 기록
전시기간 8월26∼9월13일
2010년 08월 25일 00시 00분 입력 광주롯데갤러리에서 올해 창작지원전의 두 번째로 리동인(32/회화)작가를 초대한다. 리동인 작가는 조선족 이민 4세로 중국 길림성 연변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였다.
2007년 한국에서의 첫 개인전 이후 3년 만에 갖는 이번 전시의 주제는 <사라져버린 넋 그리고 기록>이다. 작가는 중국에서 대학을 마치고 석사연구를 위해 2005년 한국땅을 밟았다.
체감할 수 없는 뿌리, 근원에 대한 궁금증, 두 개의 조국을 사이에 둔 정체성에 대한 혼란 등이 선조의 땅을 밟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했었다. 이와 관련한 작가의 첫 개인전은 시작과 과도기의 혼재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작가는 첫 전시에서 <해란벌에 서서>라는 전시 제목으로 이민 세대의 아픔을 체득하려 했다. 해란강은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인 용정 부근을 흐르는 두만강의 지류로, 독립 항쟁의 증거이자 조선족 개척의 역사가 고스란히 배어있는 곳이다. 작가는 낯선 땅에서 새로운 형식을 채우기에 앞서 조용하고 힘있는 어조로 해란벌의 과거와 현재를 대작 안으로 불러들였다. 해란벌을 상징으로 에둘러 표현한 이민의 역사는 다소 큰 스케일에 작위적인 기운을 담고 있었지만, 본인에게는 지극히 당연한 귀결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비교해 금번 초대전은 관점에 있어 보편성을 꾀하려 한다. 사라져가는 넋 그리고 기록이라는 주제에서 볼 수 있듯, 소멸하거나 소멸되는 시간, 역사에 대한 되새김이 화폭을 가득 매운다. <2010년 3월 13일의 기록> 연작에서는 불교의 다비식 현장을 담았다.
순천 송광사에서 치러진 법정스님의 봉행 모습이다. 작가가 기록하는 시(時)와 공간, 그리고 증거 행위는 현재의 시대를 함께 호흡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문화혁명기 소실되었다는 족보, 그것이 상징하는 것처럼 자신에 대한 갈무리와 더불어 남은 역사를 공유하고자 한다. 자신이 안고 온 갈등과 시대의 상흔을 넒은 보폭으로 끊임없이 보듬는 태도, 그 과정의 출발선에 이제 막 들어선 듯 하다.
또 다른 기록 시리즈 <잔해>에서는 소실 직후의 숭례문을 보여준다. 숭례문 방화사건이 있었던 2008년 현장에서 스케치한 것을 올해 들어 완성했다. 잔해라는 명제가 새삼 먹먹하다. 썩거나 타다가 남은 뼈, 혹은 넋이 나간 채 남아있는 육체, 흔히 산송장의 의미로 읽혀지는 잔해의 사전적 의미가 새로 읽혀진다.
작가가 안고 가는 정체성에 관한 직접적인 고민은 인물화와 <단층> 시리즈에서 엿볼 수 있다. 인물화에서는 캔버스 중앙에 거친 칼질이 가해졌고, 더불어 그 간극을 명주실로 단단히 동여매었다.
대륙 혹은 반도에서도 궁극의 안온함을 누릴 수 없는 애매함이 좌도, 그렇다고 우도 아닌 정 중앙을 관통한다. 불에 그을린 듯 거칠게 박제화된 작품 <단층>은 비슷한 어조로 표현한 오브제이다. 앞서 언급한 소실된 족보를 상징하는 단층은 세대의 단절을 상징하기에 앞서, 역사적 사실 및 진행형의 시간에 무관심한 지금의 상황을 역설하는 듯 하다.
영산강이나 백두산, 그리고 항일투쟁을 상징화한 작품에서도 작가의 논조는 시종일관 담담하다.
흔히 디아스포라의 생에 대한 관점과 태도는 개인과 사회 안에서 간과할 수 없는 상징성을 띤다고 본다. 위의 작가의 변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작가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역사와 현재와의 상호성, 그리고 공유할 시간에 관한 타자와의 공감이다.
2010년 올해는 유독 우리 역사의 모든 상흔과 아픔들을 기념하고 되새기기 바쁜 해이다. 그리고 아직 세계 도처에서는 수많은 형태의 디아스포라들이 속출한다. 하루가 다르게 우리의 정신에서 사라져가는 역사, 중요한 쟁점들, 그 모두를 새삼 묵상하고 고찰해보는 것, 본 초대전의 목적은 이 부분에서 기인한다.
과거의 아픔들이 혼재하는 8월, 우리 모두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의 의미를 추념해보기를 바라며, 의미 있는 발걸음들이 함께 하였으면 한다.
작가 약력
2010년 현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박사 수료
2008년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석사졸업
1998년 중국 길림성 연변대학 예술대학 졸업
전시 및 수상
2008년 제7회 고양국제아트페어
2008년 개인전 <해란벌에 서서Ⅱ> zeinxeno 갤러리, 서울
2007년 개인전 <해란벌에 서서> 달뫼미술관, 창평
2004년 중국 전국소수민족대전 우수상
2003년 중국 길림성 청년미술대전 2등상
최정이 기자 choijungyee@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