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생식기계(1)
2014년 04월 22일 00시 00분 입력 유전자의 무작위적 조합은 유전적 다양성과 함께 개체를 증식시키는 역할을 이제껏 해왔다. 다른 기관계와 달리 생식계통은 개체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으나 종의 보존에는 필요하다. 생식을 통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유전자 암호가 전달된다.
유성생식은 세대마다 무작위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개체군에 다양성을 생성하는데 극도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생식계통은 성호르몬에 의해 사춘기에 작동하기 전까지는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남성과 여성 생식계통은 자손을 생산하는 공통적인 목적에 서로 보완하고 있다.
남성 생식계통의 기능은 정자를 생성하여 성행위 혹은 성결합(성교)을 통해 여성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다른 기능은 남성 생식계통을 유지하고 남성의 성욕에 관여하는 성호르몬을 생성하고 분비하는 것이다.
여성 생식계통은 난자를 생산하고 남성으로부터 정자를 받아들이는것 뿐만 아니라 수정, 착상 그리고 임신에 대한 장소 제공과 더불어 출산을 위해 특수화되어 있다. 젖샘(유선)에서 젖을 분비함으로써 양육기능도 가지며 여성생식기관을 유지하고 성욕에 관계하는 성호르몬을 생산 분비하는 기능도 한다.
남성 생식기계의 1차성 기관으로 생식샘(생식선), 고환이 있다. 고환은 생식자를 생성하고 성호르몬을 분비한다. 안드로겐이라 불리는 남성호르몬 분비는 이차성징을 발현시키고 이차성 기관을 발달시킨다. 2차성 기관으로 정자를 보호하고 운반하는데 필수적인 기관으로 정자수송관, 부속샘, 교접기관이 이에 속한다. 정자수송에 관여하는 관에는 부고환, 정관, 사정관, 요도가 있으며 남성 부속샘에는 정낭, 전립샘(전립선), 망울요도샘(요도구선)이 있다.
류재문 프로필:서영대학교 보건행정과 겸임교수. 미래간호학원장. 인체해부연수교육개발원장 연구실:062-236-3114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