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림프의 기능과 순환
2014년 12월 26일 13시 38분 입력 우리 모두는 유해하고 위험한 환경에서 살고 있지만 탁월한 방어기전들이 다양한 생물학적인 적들과 싸워 우리를 보호한다. 우리는 이 보호안전망을 면역계통이라고 한다.
면역계통은 주로 림프기관으로 구성된 구조적 요소들과 감염, 질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특수한 세포와 분자들을 특징으로 한다. 세포와 조직액 사이의 물질교환은 모세혈관상에서 일어나며 모세혈관 벽을 통해 들어갈수 없거나 되돌아오는 많은 물질, 과도한 수분과 단백질 분자들은 림프의 형태로 혈액으로 되돌아간다.
림프는 조직강에서 형성된 특수한 형태로 특수한 림프관을 통해 운반되어 순환기계로 다시 유입된다. 림프계통은 림프, 림프관, 림프절, 가슴샘, 지라 등을 포함한다.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생성된 압력으로 모세혈관의 혈장이 여과되어 조직세포 사이의 미세한 공간으로 나온 액체를 조직액이라 하며 조직액의 대부분은 모세혈관 벽을 통해 혈액으로 되돌아간다.
나머지 조직액은 혈액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림프계통으로 들어간다. 림프관에서 림프의 이동은 한방향으로 혈액과 달리 림프는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관을 통해 반복적으로 순환하지 않는다. 림프는 림프모세혈관을 지나 더 큰 관인 림프소정맥, 림프정맥을 거쳐 오른림프관과 가슴림프관(흉관)이라는 2개의 종말림프관으로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목부위의 정맥으로 유입된다. 신체의 3/4에서 오는 림프는 신체에서 가장 큰 림프관인 가슴림프관(흉관)으로 배액한다.
오른쪽 머리, 목, 상지의 림프는 오른림프관으로 흐른다. 림프관은 림프의 흐름을 한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판막이 존재하므로 구슬모양을 한다. 가슴림프관팽대(유미조)는 정맥계로 수렴하는 림프를 저장하는 장소로 소장벽에 있는 유미림프관이라는 이름을 가wlsek.
유미림프관은 음식물로부터 얻은 지방을 혈액으로 수송한다. 림프는 림프관의 경로를 따라 배열하는 림프절을 지나면서 여과된다. 림프절은 림프기관이다.
류재문프로필: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인체해부연수교육개발원장 연구실:061-360-5243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