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분비계의 이해
2015년 04월 11일 13시 10분 입력 내분비샘은 호르몬이라는 화학전령을 도관이 아닌 혈류 속으로 분비한다. 이후 호르몬은 혈류를 통해 먼 곳까지 운반되어 표적조직 또는 효과기라는 특이한 곳으로 이동하여 표적 조직의 조화된 반응을 유발한다.
내분비와 구분하여 외분비는 분비물을 몸 바깥 부위, 위와 창자 같은 소화기관으로 이동시키는 도관을 가지고 있다. 그 예로는 침샘, 땀샘, 젖샘과 소화효소 등이다. 호르몬 분비의 조절로 3종류의 자극이 있다. 체액성, 신경성, 호르몬성 자극이 그것이다.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는 모든 자극은 음성 되먹임 기전을 통해 호르몬의 혈액 농도를 항상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만 변화 시킬수 있다. 먼저 체액성 자극에 의한 조절이 있다. 이는 혈액에 들어 있는 분자가 직접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는 것이다.
예로 매우 더운 날씨에 마라톤을 마친 선수는 약 12시간 동안 소변이 생산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항이뇨호르몬이 분비되어 수분보존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혈당의 증가가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를 직접 자극하고 혈중 칼륨 농도의 증가가 부신 겉질의 알도스테론 분비를 직접 자극하는 경우이다.
신경성 자극에 의한 조절이다. 어떤 신경전달물질은 세포를 자극하여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킨다. 예를들면 스트레스나 운동 같은 자극에 반응하여 교감신경계통은 부신을 자극하여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촉진한다.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반응은 심박수 증가와 운동하는 근육으로 가는 혈류의 증가로 나타난다. 자극이 소실되면 신경성 자극도 감소하여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감소된다. 호르몬성 자극에 의한 조절이 있다. 다른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할수 있는 호르몬이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뇌하수체 앞엽에서 분비되는 자극호르몬이다. 예를들면 시상하부에서 생산된 분비호르몬이 뇌하수체를 자극하면 뇌하수체는 갑상샘자극호르몬을 생산하여 갑상샘을 자극함으로써 갑상샘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류재문프로필: 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인체해부연수교육개발원장. 미래간호학원장 연구실: 061-360-5193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