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생식샘과 남성생식샘의 기능
2015년 05월 28일 00시 00분 입력 여성생식샘이다.
여성의 1차 생식샘은 2개의 난소이며 각 난소에는 2종류의 샘조직, 난포와 황체가 존재한다. 우선 난포는 그 속에서 난자의 발생이 진행되는 작은 주머니모양의 구조이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분비한다.
에스트로겐은 유방과 바깥생식기관의 발달과 성숙에 관여한다.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성인여자에서 여성다운 신체곡선을 만들어주고 월경주기를 시작하게 한다. 황체는 주로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지만 에스트로겐도 일부 분비한다.
프로게스테론은 임신에 필요한 조건을 조장하며 에스트로겐은 과소분비시 성적발달의 결여, 불임, 골다공증 등을 초래할수 있다. 남성생식샘이다. 고환(정소)의 일부세포는 남성의 성세포인 정자를 생성한다. 또한 남성생식관과 샘을 이루는 세포들은 정액을 생성한다.
고환의 사이질세포에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직접 혈액으로 분비한다. 고환의 사이질세포는 남성이 내분비샘이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화호르몬으로 전형적인 남성형체형으로 변화시키고 바깥생식기관의 성숙, 턱수염의 출현, 사춘기에 나타나는 목소리변화 등을 일으킨다.
가슴샘(흉선)은 세로칸(종격)에 위치하고 겉질과 속질로 구성된다. 두부분 모두 림프가 주성분을 이룬다. 면역계통으로 기능함에 있어 가슴샘의 내분비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필수적이다. 이 작은 구조는 감염에 대한 방어작용이 있어 생체면역기전을 담당한다.
타이모신이라는 호르몬은 실제 여러 호르몬으로 이루어진 무리를 지칭하며 면역계통의 발달과 기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태반이 있다. 일시적으로 내분비샘으로 작용하며 임신기간 동안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을 생산한다.
이 호르몬은 자궁속 태아를 둘러싸는 융모막세포에서 분비되는 자극호르몬이다. 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도 생산하며 임신초기에 신장을 통해 다량의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이 소변으로 배설된다. 따라서 초기 임신반응검사가 가능해졌다.
이 호르몬은 임신초기에 필요한 조건을 조장하며 과소분비시 자연유산을 초래할수 있다. 류재문프로필: 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중국해부연수팀장 연구실: 061-360-5193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