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기계통의 구성과 영양소의 흡수
2015년 06월 05일 00시 00분 입력 성인의 경우 3쌍의 침샘(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에서 약 1L를 분비한다.
소화계의 전형적인 부속샘이다. 귀밑샘은 침샘중 가장 크며 귀밑샘에 바이러스감염이 되면 볼거리라 불리는 질환이 유발되며 선진국에서는 잘 발병되지 않는다. 이유는 볼거리 백신접종을 하기 때문이다.
이 질환은 귀밑샘을 붓게 하고 건이나 남성의 고환 같은 장기를 감염시킨다. 혀밑샘은 구강 바닥에 개구하고 침은 점액과 침 아밀라아제라는 소화효소를 지니고 있다. 점액은 식괴라 불리는 음식물 덩어리를 촉촉하게 하고 식도를 통해 위까지 통과하는데 마찰을 감소시켜 준다.
침아밀라아제는 탄수화물의 화학적 소화를 진행시킨다. 인두는 점막으로 이루어진 근육성 관으로 비강과 구강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호흡기계통과 소화기계통을 공유하고 있다. 위장의 벽은 4종류의 조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서 외부까지 층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각 종류의 상피세포에 의해 형성되는 점막은 소화관의 내부를 덮고 있다. 점막하층은 점막층 바로 아래에 위치한 결합조직층으로 많은 혈관과 신경말단을 가지고 있다.
연동운동이라 하는 평활근의 수축은 음식물이 소화관을 통해 이동하며 근육층의 수축은 음식물이 소화액과 섞이도록 하며 기계적 분해를 돕는다. 장막층은 소화관의 외막을 덮고 있다. 식도는 인두부터 위까지 연결되며 약 25cm의 근육성 관이다.
위 식도조임근은 호흡시 공기가 관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으며 아래 식도 조임근은 위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위는 가로막(횡격막) 바로 아래 복강 윗주머니에 위치하며 위에 있는 점막은 위에 염산과 위산을 분비하는 수천 개의 위샘을 가지고 있다. 소장의 길이는 약 7m로 대장보다 직경은 작다.
위와 같이 소장의 점막은 미세한 수천개의 분비선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창자샘은 소화액을 분비한다. 소장 내부는 윤상주름이 있고 표면은 수천개의 융모로 덮여 있다. 융모내에는 탄수화물과 단백질 소화산물을 흡수하는 모세혈관망이 존재한다. 융모의 커다란 표면적은 음식물의 빠른 흡수를 위해 매우 유리한 구조이다.
수천개의 융모는 소장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미세 융모는 영양소의 흡수를 위해 융모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화학적 소화작용은 소장의 샘창자(십이지장)에서 일어난다. 담석이 샘창자유두를 막아 심각한 통증과 소화적인 문제를 일으킬수 있는데 이를 황달이라고 한다. 소장벽의 평활근은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연동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수축한다.
류재문프로필: 전남과학대학교 초빙교수. 중국해부연수팀장 연구실: 062-236-3114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