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의 3대 의혹 밝혀야!
'첫 발포 명령· 헬기 사격· 암매장'..
첫 발포 지시자로 전두환 추정. 당사자 부인..
군 자료 공개 안 해 北 개입 주장 등 진실왜곡 심각
2017년 05월 19일 00시 00분 입력 최초 발포명령자 규명, 헬기사격 진실, 암매장 존재. 37년간 베일에 가려졌던 5·18민주화운동 3대 미완의 과제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진실규명을 약속하면서 이들 핵심의혹이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5·18의 가장 큰 과제는 최초 발포명령자를 가려내는 일이다. 1980년 5·18 당시 계엄군의 첫 집단발포는 시위가 한창이던 5월21일 오후 1시쯤이다. 당시 시민 수천여명은 전남도청 앞에서 전날 계엄군의 총에 맞아 숨진 것을 놓고 계엄군에 항의하는 집회를 했다.
계엄군은 전남도청과 금남로에 모인 시민들이 애국가를 부르는 순간 총을 쐈다. 계엄군이 광주에서 무고한 시민에게 최초로 집단발포한 사건이다.
이날 최소 54명이 사망하는 등 55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후에도 계엄군은 시위대 해산과 전남도청 최후 진압작전을 펴면서 수백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5·18 진상규명이 본격화하면서 5·18특별법 제정과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 설치, 5공 청문회 개최 등이 진행됐지만 끝내 최초 발포명령자의 실체를 밝혀내지 못했다. 핵심문건인 군부대 이동상황과 작전일지 등은 공개되지 않고 당사자들은 진술거부로 일관했다.
다만 당시 신군부를 장악한 전두환 전 대통령이 발포명령을 내렸을 것이라는 정황 증거만 확보했다. 최환 전 5·18특별수사본부장은 최근 광주시청 특별강연에서 “5·18 수사 당시 전 전 대통령이 진압명령을 시인했다”고 회고했다.
대법원도 1997년 전 전 대통령의 내란음모죄에 대한 판결에서 발포명령자를 추론했다. 전 전 대통령은 최근 자신의 회고록에서 5·18 당시 계엄군 투입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발포명령을 인정하지 않았다.
5·18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의 진실도 풀어야 할 숙제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지난 1월 전남도청 옆의 전일빌딩에 헬기에서 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탄흔 185곳을 확인했다고 공식 발표해 헬기 사격의 실체는 확인된 상태다. 하지만 국방부는 헬기사격이 없었다고 줄곧 부인했다. 자료도 공개하지 않고 제대로 된 조사도 안 했다.
2001년 이후 공수부대원 등의 암매장 장소 증언이 이어졌지만 유골 발굴은 속도를 못 낸다. 검찰 수사기록 공개도 더뎌 암매장 문제가 안개 속에 묻혀 있다. 5·18 이후 행방불명자가 있지만 이들의 소재는 모른다. 암매장과 행불자 간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조사할 대목이다.
진실규명이 제대로 안 되면서 5·18의 역사왜곡과 폄훼 논란은 여전하다. 일부 보수 논객과 ‘일베’는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해 거센 항의를 받았다. 보수논객 지만원씨는 5·18 당시 시위 사진에 나온 인물들이 북한 인사들이라고 지칭했다가 최룡해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으로 지목된 당시 시위 참가자 양계남씨에 의해 피소됐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헬기사격 등 5·18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선 강력한 조사권을 가진 국가차원의 규명위원회가 꾸려져야한다”고 강조했다.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 기사 목록으로 ] [ 프린트 서비스 ] [ 메일로 보내기 ]
|
|
칼럼/시사/논평/이슈 |
 |
| |
|
지역행사 소식 |
 |
| |
|
무료광고 |
 |
| |
|
|